주식을 하다 보니 경제공부를 해야 됨은 물론이겠죠 그래서 경제신문을 탐독하는 것은 물론 뉴스를 항상 끼고 살아야 되는 현실입니다. 어떻게 하면 주식 종목을 잘 고를 수 있을까? 이렇게 고민을 하다가 조건검색기를 활용한 주식종목을 찾기로 했다. 조건검색에 대한 내용은 너무나도 많이 있기에 오늘은 기초검색식에서 신고가로 종목발굴을 하는 내용을 기록해보고자 한다.
신고가란 무엇인가? 신고가 설정일 기준은 어떻게 되는가? 검색식에 의한 종목 발굴 시 활용전략은 어떻게 할것인가? 등등을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우선 아래 그림으로 조건검색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 확인하도록 하겠습니다.
"봉중 신고가"란 무엇인가?
부식 조건검색에서 봉중 신고가란 특정 기간 내 종가가 아닌 장중 최고가 기준에서 가장 높은 가격을 기록한 경우를 의미합니다.
단순히 종가 기준의 신고가와는 다른 의미입니다. 다시말해 거래시간 중 최고가 기준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시장의 즉각적인 반응과 매수세의 강도를 파악하는데 유리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봉중 신고가의 의미
1. 강한 매수세의 존재
봉중 신고가는 대개 강한 매수세가 유입되었음을 보여주는 지표로 해석됩니다. 주가는 수많은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와 행동을 반영한 결과인데, 어떤 종목이 과거 일정 기간 동안의 고점을 넘어선다는 것은 많은 투자자들이 그 종목의 상승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즉, "이 정도 가격도 시장에서 받아줄 준비가 되어 있다"는 시장의 태도이자 매수세의 자신감을 보여주는 현상입니다. 이는 주가가 향후 더 상승할 수 있다는 모멘텀의 시작점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요약>
- 주식시장에서 신고가는 매수세가 강하게 유입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지난 시간 동안의 저항선을 뚫었다는 의미로도 해석이 가능합니다.
- 추세의 전환 또는 추세 강화의 신호로도 해석이 된다.
2. 주식 투자자의 심리적 변화
기술적 분석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 변화입니다. 봉중 신고가는 투자자들에게 심리적으로도 큰 영향을 미치는 이벤트입니다. 주식을 이미 보유하고 있는 투자자들은 고점을 돌파한 종목을 보며 “역시 잘 샀다”는 확신을 갖게 되며, 보유를 지속하거나 추가 매수에 나설 수 있습니다.
반면, 기존에 투자하지 않았던 외부의 투자자들은 봉중 신고가를 본 순간, “지금이라도 타이밍이 늦지 않았을까?”라는 고민을 하며 늦게라도 매수하려는 심리가 생기게 됩니다. 이처럼 봉중 신고가는 심리적인 추격 매수를 유도하기도 하며, 때로는 상승 추세의 불을 붙이는 기폭제가 되기도 합니다.
<요약>
- 고점 돌파로 인하여 기존 보유자는 안도감에 의한 보유를 유지하거나 추매를 고려
- 신규 매수자는 상승 돌파로 인식하여 진입(매수)의 가능성이 높음
3. 기술적 신호
봉중 신고가는 기술적으로도 중요한 “돌파 신호”로 받아들여집니다. 차트상 저항선을 넘는 것은 그 자체로 의미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과거에 그 가격 부근에서 여러 번 주가가 밀렸다는 것은, 그 가격대에 매도세가 많았다는 뜻이고, 이를 돌파했다는 것은 이전의 매도세를 상쇄할 정도로 강한 매수세가 등장했다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봉중 신고가는 일반적으로 “기술적 돌파” 또는 “추세 전환”의 시그널로 여겨집니다. 특히 이 돌파가 높은 거래량과 함께 발생했을 경우에는 그 신뢰도는 훨씬 더 커지게 됩니다.
<요약>
- 저항선의 돌파로 기술적 분석에서는 매수 시점의 근거로 활용
- 거래량이 동반되면 신뢰도가 더욱 높음
4. 단기 과열 판단 기준
반면, 봉중 신고가가 항상 긍정적인 신호만은 아닙니다. 종종 거래량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봉중 신고가가 나올 경우, 이 돌파가 일시적인 급등 혹은 작전성 매수에 의한 허수일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즉, '속 빈 강정' 같은 신고가일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주가가 단기적으로 너무 급격히 상승하며 봉중 신고가를 기록하는 경우, 이는 과열의 징후로 해석되기도 합니다. 이후 차익 실현 매물이 쏟아지면서 빠르게 주가가 되돌려지는 경우도 많으므로, 신중한 관찰과 추가적인 지표 확인이 필요합니다.
<요약>
- 거래량이 없는 신고가는 단기과열 혹은 허수에 의한 급등으로 인식하여 매도 신호로도 해석될 수 있다.
신고가 설정 시 설정일 수 기준 선택
설정일수 | 의미 및 활용 | 투자 성향 |
5일~10일 | 초단기 트레이딩(스캘핑, 단타) 관심 신호 | 초단기 투자자 |
10일~20일 | 단기 매매 전략(추세 초기 포착) | 단기 투자자 |
20일~60일 | 중기 추세 진입, 단기 추세 돌파 여부 | 중기 투자자 |
120일~240일 | 장기 신고가 검색, 중장기 투자용, 구조적 상승 추세 시작 여부 | 장기 투자자 |
활용 전략
거래량 증가 & 봉중 신고가 | 매수세 유입 가능성이 높음, 거래량이 필수로 동반되면 신뢰도가 높음 |
이전 고점 돌파 여부 확인 | 저항선 돌파 혹은 일시적 과열인지 여부 판단 단순한 주가가 높아진 것이 아니라 과거차트에서 저항대를 돌파 한것인지 여부를 체크 |
기술적 지표 참고 | 신뢰도 향상위해 RSI, MACD, OBV 등과 함께 참고하면 매수 및 매도 판단의 정밀도가 높아짐 |
투자 스타일에 따른 조건검색식(HTS/MTS 조건검색식)
단기 매매용 조건식 | [조건1] 최근5일 내 봉중 신고가 갱신 [조건2] 당일내 거래량 > 5일 평균 거래량의 150% 이상 [조건3] 현재가 > 5일 이평선 |
최근 며칠간 조정을 받았지만 오늘 강한 거래와 함게 고점을 돌파한 종목 선별 / 단기 급등 눌림목 이후 반등 종목 발굴 |
중기 추세용 조건식 | [조건1] 최근20일 내 봉중 신고가 갱신 [조건2] 거래량 > 20일 평균 거래량의 120% 이상 [조건3] 5일 이평선 > 20일 이평선 > 60일 이평선(정배열) |
기술적 우상향 흐름이 지속되고 있는 종목 중 추세를 이어가느 케이스 선별 / 단기 중기 스위 투자자 추천 |
장기 트렌드 조건식 | [조건1] 최근 120일 내 봉중 신고가 갱신 [조건2] PER < 15 / PBR < 1.2 [조건3] 시가총액 1,000억 이상 |
가치주 중에서 장기 저항 돌파한 종목 선별 / 안정성 중시하는 중장기 투자자, 가치 투자자에게 추천 |
결론
위 내용을 요약하고 결론을 내리자면 봉중 신고가는 주가가 단기 혹은 중기적으로 강세 전환 가능성이 있다는 중요한 기술적 신호이며, 거래 전략의 타이밍을 잡는 데는 매우 유용한 지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단 항상 다른 보조지표 및 거래량과 함께 분석하여 신뢰성이 높은 판단을 내리는 적이 중요하겠습니다.
주식 [조건검색 시세분석] 의미와 활용 종목 검색
투자해야 할 주식 종목을 찾기 위해 여러모로 다양한 기법을 사용하고 계신 줄 알고 있습니다. 주위 주식 투자자들의 공통점은 그냥 풍문으로 듣고 이러한 주식이 좋다고 하더라 아니면 요즘 대
chuljoo.tistory.com
주식 [조건검색 거래량] 범위 설정 방법 / 거래량비율 체결강도 설정 등
주식 투자 종목 발굴을 위해 조건 검색을 활용하는 방법을 지속적으로 알아보고 있습니다. 오늘도 계속해서 조건검색에서 시세분석 중 거래량에 대한 내용을 알아볼까 하는데요 주식의 거래량
chuljoo.tistory.com
'주식&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테이블코인(Stablecoin), CBDC(중앙은행 디지털 화폐) 뜻 종류 주요특징과 개념 파악하기 (4) | 2025.06.30 |
---|---|
ETF란? ETF투자 일반펀드 직접투자 차이점과 장단점 비교 / 세금관련 절세계좌까지 알아보고 투자하기 (9) | 2025.06.27 |
코넥스 상장요건 / 코넥스시장 유지 완화 및 코스닥 이전상장 지원 특례 (15) | 2023.06.01 |
코스피 코스닥 상장요건 및 차이점 / 주식시장의 차이 (8) | 2023.05.17 |
주식 [조건검색 거래량] 범위 설정 방법 / 거래량비율 체결강도 설정 등 (1) | 2022.07.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