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소정근로시간2

728x90
반응형
통상임금(주휴 연차 수당계산 적용) 임금항목 해당여부 오늘은 임금의 종류 중 연장근로수당, 휴일근로수당, 야간근로수당, 연차 유급휴가의계산에 산정기초가 되는 통상임금에 대하여 확인하고 공유 토록 하겠습니다. 통상임금은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6조에서 “근로자에게 정기적으로 일률적으로 소정(所定)근로 또는 총 근로에 대하여 지급하기로 정한 시간급 금액, 일급 금액, 주급 금액, 월급 금액 또는 도급 금액”이라고 정의 하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정기적, 일률적, 소정근로의 대가성 등에 대하여 통상임금에 적용이 되는지 혹은 않되는지 좀 더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통상임금은 소정근로의 대가여야 만 합니다. 즉 연장근로수당이나 휴일근로수당, 생일 축하금과같은 경우는 소정근로의 대가가 아니라서 통상임금 계산시 반드시 제외 됩니다. 2. 통상임금은 정기적인 특성.. 2020. 11. 12.
주휴수당 지급조건, 계산방법 / 의무 사업장 주휴수당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주휴수당이란 1주일 동안 소정근로일을 만근 한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유급 휴일입니다. 다시 말씀드리자면 월, 화, 수, 목, 금요일까지 주 5일 40시간을 근무하였다면 일요일은 일을 하지 않아도 임금지급 시 8시간을 추가로 계산하여 지급하는 유급 휴일 수당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 조건에 대하여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주휴수당 지급 조건 1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 충족될 것 사용자와 약정한 1주 소정근로 일수를 개근할 것 계속 근무(주휴수당이 발생한 주일 이후에도 계속 근무) 할 것 위와 같은 지급조건에 상응하다면 주휴수당을 청구할 권리가 충분히 있다 할 수 있겠습니다. 여기까지 주휴수당과 지급조건.. 2020. 6.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