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소득 과세대상 여부(급여 비급여 사례)
이번에는 회계관리를 하시는 분들이 자주 질문하는 내용 중에서 근로자가 회사로부터 제공받은 현물이나 금액에 대하여 급여(과세대상 근로소득)에 반영을 하여야 할지 복리후생비로 처리하여야 할지 고민인 내용을 사례를 통해 같이 공유하고자 합니다. 근로소득에 과세대상 사례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기 이전 복리후생비에 대한 개념과 관련법인 법인세법, 소득세법 조항에 대하여 간단히 언급하도록 하겠습니다. 복리후생비는 근로환경의 개선 및 근로의욕의 향상 등을 위하여 지출하는 노무비적 성격을 강한 비용으로서 급여, 상여금, 퇴직금과는 구분이 되어야 하며, 사회통념상 타당성이 있어야 된다 즉 직장체육비, 직장회식비, 우리사주조합운영비, 건강보험료, 직장보육시설 운영비, 고용보험 등을 지출한 경우 손금인정이 되며, 경조사비 등..
2020. 8.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