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이 점점 다가오고 있네요 오지 말라고 해도 오지 않을 것은 아니지만 말입니다.
여름철이 다가오면 최근에 많은 걱정이 되네요 더위가 날이 가면 갈수록 점점 더 극성을 부린다고 하니말입니다.
더운 여름철이면 연세가 많으신 노약자는 물론 각 사업현장에서 일하시는 분들에겐 정말이지 위험한 계절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해서 오늘은 온열질환란? 무엇이며 열사병과 일사병의 차이는 무엇이며 원인과 증상을 알아보고 혹 응급 환자발생 시 상황대응 매뉴얼 등에 대하여 알아보고 정보를 같이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 온열질환이란?
온열질환은 고온의 환경에서 체온 조절이 어려워져서 발생하는 일련의 질환을 말하는 것이며 온열질환 증상은 경증에서 중증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주요 질환으로는 일사병과 열사병은 가장 잘 알려져 있음며 특히 열사병은 생명의 위협하는 응급 질환이라고 하겠으며, 주요 질환은 열경련(Heat Cramps), 열실신(Heat Syncope) , 열탈진 또는 일사병 (Heat Exhaustion) , 열사병(Heat Stroke)입니다.
온열질환자의 병세와 증상은?
- 열경련(Heat Cramps) : 주로 운동 중 발생을 하며 근육경련이 발생
- 열실신(Heat Syncope) : 일시적인 의식 소실 및 혈압저하
- 일사병 (Heat Exhaustion) : 탈수와 염분 소실, 심한 발안, 의식 명료
- 열사병(Heat Stroke) : 체온이 40도 이상, 중추신경계 이상, 생명 위협
★ 일사병이란?
일사병은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오랜 시간 동안 활동하거나 노출이 되어 체내 수분과 염분이 과도하게 손실이 되어 발생하는 중등도 온열질환입니다. 주로 탈수와 순환기계의 부담이 그 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사병의 원인과 증상
원인 : 실내 혹은 실외에서 고온의 환경에서 오랜 시간 동안 작업이나 운동으로 인하여 과도한 땀의 배출로 인함
증상 : 피로감, 현기증(두통), 구역질(구토), 발한, 피부는 촉촉하고 차가움, 저혈압, 실신, 체온 상승 (37.5~40도 / 열사병 보다 낮음)
일사병 증상에 따른 처지 방법
1. 환자를 시원한 장소로 이동시킨다.
2. 환자의 옷을 최대한 느슨하게 하거나 탈의를 시킨다.
3. 물 또는 스포츠음료를 섭취하게 한다(구토가 심할 경우 금지)
4. 냉찜질 또는 선풍기, 얼음 팩 등으로 환자의 체온을 감소시킨다.
5. 환자의 상태가 악화될 경우 반드시 119에 전화하여 병원으로 이송한다.
★ 열사병이란?
열사병은 체온 조절이 완전히 실패하여 체온이 급격하게 40도 이상으로 상승하고 중추신경계 이상 증상(의식 저하, 혼수상태)이 동반되는 생명을 위협하는 중증 온열질환입니다. 긴급한 치료가 뒤따르지 않는 다면 사망률이 매우 높습니다.
열사병의 원인과 증상
원인 : 장시간 고온에 노출되어 땀 배출이 멈추면서 체온이 상승, 노인 어린이 기저질환자 고온작업자에게 흔하게 발생
증상 : 체온이 40동 이상, 호흡이 증가하고 맥박이 증가, 혈압저하, 혼수 또는 발작, 발한이 멈추거나 감소(피부는 뜨겁고 건조하거나 땀이 안 나는 경우도 있음) 특히 간, 신장, 근육, 뇌 등에 손상을 가 할 수가 있으니 주의
열사병 증상에 따른 처지
1. 환자 발생 시 가급적 119를 통해 응급의료 요청
2. 환자를 서늘한 장소로 이동한다.
3. 환자의 옷을 최대한 느슨하게 하거나 탈의를 시킨다.
4. 시원한 아이스팩, 찬물로 환자의 체온을 급속히 낮춘다.
5. 환자의 의식이 없거나 경련이 발생할 때는 물 섭취를 금한다.
6. 환자의 응급처치와 병원 치료가 필수
온열질환자 발생 시 즉각적이고 체계적인 응급처치가 한 생명을 살릴 수 있으니 아래와 같이 응급상황 대응 매뉴얼과 사건 사고 현자에서 바롤 활용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뜨거운 여름철 무더위에서 온열질환자가 발생하지 않으면 그것이 최고인 듯하나 혹 행여 하나 발생 시 119로 제일 먼저 전화하시는 것이 우선이나 응급차가 도착하기전 우리들이 직접 처치해야 할 응급처치와 상황대처에 대하여 알아 두는 것 또한 중요하겠습니다.
▣ 온열질환자 응급상황 대처 메뉴얼
1단계 : 환자의 상태와 작업 환경에 대하여 파악한다.
- 증상 확인 : 어지러움증, 두통, 구역, 구토, 발한, 체온, 의식확인
- 증상 발생의 환경 : 증상의 지속 시간, 노출환경(고온, 밀폐공간, 작업의 강도 등)
- 질환의 분류 : 피로, 탈수, 식은땀이 날 경우 일사병 / 의식이 없고 고열이 나며 발한이 없는 경우 열사병
2단계 : 환자 이송 및 위치 안전 확보
- 즉시 그늘지거나 시원한 장소를 찾아 옮긴다.
- 누운 자세로 휴식을 취하는데 다리를 약간 올려 혈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 만약 작업 공간이면 즉시 주변 정리를 하여 위험 요소를 제거한다.
3단계 : 체온 낮추기(체온 조절)
- 체온 조절을 위해 환자의 옷을 느슨하게 풀거나 벗기는 것이 좋다.
- 찬물을 적신 수건 또는 얼음 팩으로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 등을 닦아 체온을 내리게 한다.
- 또는 휴대용 선풍기 혹은 부채 등을 활용하여 체온을 유지하게 한다.
4단계 : 의식 상태에 따라 대처
- 환자가 의식이 있다면 이온음료 혹은 물을 천천히 섭취하게 한다.
- 환자가 의식이 있다면 열사병 위험이 낮은 상태이니 체온을 낮추며 119가 올 때까지 휴식을 취한다.
- 환자가 의식이 혼미 함과 동시에 경련이 동반될 경우 물은 마시게 하지 말고 즉시 119에 신고하녀 병원으로 이송
- 환자가 의식 없을 경우 백박과 호흡을 확인 심폐소생술을 하거나 119를 통해 도움을 요청과 동시에 병원으로 이송
다시금 정리를 하면 다음 순서도와 같습니다.(무조건 119에 구조 요청)
증상 확인(체온, 의식, 피부상태) → 시원한 장소로 이동시킨다 → 환자를 눕혀 다리를 올린다 → 환자의 옷을 느슨하게 하여 압박감이 없도록 한다 → 냉찜질 또는 체온을 떨어지게 한다 → 의식이 있을 경우만 음료 제공 → 점차적인 의식저하 시 119 연락 → 119로 지속적인 통화 → 호흡, 맥박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정보 공유 → 병원 이송
◆ 온열질환자를 위한 응급 키트
1. 체온계
2. 아이스팩, 냉매젤, 쿨스카프
3. 스포츠음료 및 생수
4. 휴대용 선풍기 및 부채
5. 응급연락망 리스트
6. 증상체크표
◈ 온열질환자 사전 예방법
★ 충분한 수분 섭취 : 카페인이나 알코올 등 탈수를 유발하는 음료는 피한다.
★ 육체노동 및 운동 불가 : 더운 날씨에는 무리한 운동이나 작업은 가급적 피한다.
★ 충분한 휴식 : 고온 환경에서 1시간 작업 후 에는 10분가량 휴식을 취하고 체온을 유지한다.
★ 작업 및 운동 시간 조절 : 한여름 무더운 시간대 11시부터 오후 4시까지는 활동을 피한다.
★ 몸의 이상 증후가 발생 시 상급자나 동료에게 신속히 이야기한다.
소금 활용 방법 / 생활의 지혜와 정보
소금에 대하여 글을 쓰려고 하니 문득 많은 생각이 나고 한편으로는 옛날이 이야기가까지 생각이 납니다. 종교에서는 세상의 소금이 되어야 한다 이야기, 소금만큼 깨끗한 식품이 없다는 말, 조
chuljoo.tistory.com
이렇게 해서 온열질환이란 무엇인가 온열질환에서 일사병과 열사병의 차이는 물론 증상과 함께 응급처리과정까지 알아보았고 더 나아가 온열질환에 대한 응급키트와 함께 온열질환에 의한 응급대처법까지 순차적으로 확인하였습니다. 끝으로 온열질환자 발생에 대한 사전 예방법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번 여름도 무지무지하게 덥다고 합니다. 현장에서 일을 하시는 분 특히 사전예방법에 따른 수칙을 잘 확인하시고 건강하고 행복한 여름 나시고 즐거운 피서 바랄게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절기 의미 순서 풍습 절기별 작물별 주요 농사일 절기음식 (5) | 2025.06.20 |
---|---|
자동차 경고등 종류 / 차량 표시등 색상 구분에 따른 단계별 조치 사항 (4) | 2024.07.26 |
세탁 표시 기호 확인 / 섬유제품 취급 표시 기호 확인(세탁, 다름질, 건조 방법 등) (16) | 2023.05.19 |
욕실 곰팡이 제거 및 예방법 욕실, 화장실 청소 물때 제거방법 (3) | 2023.02.08 |
싸고 맛있는 고기집 [부경축산물주촌도매시장] 고기 싸게파는 곳 (0) | 2022.0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