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계곡 물소리2

728x90
반응형
[청련암] 범어사 산내암자 고요한 계곡소리, 헤어짐의 시작에서 그리움을 찾다 부산에서 아주 유명한 사찰 범어사라고 하면 모르는 이가 없을 것이다.그래도 범어사를 아주 간략히 소개하자면 해인사와 통도사를 비롯하여 영남 3대 사찰이기도 하며, 일주문의 독특한 양식으로도 유명하기도 하다. 오늘은 이 범어사에 다녀온 것이 아니라 범어사 산내암자인 청련암을 소개하고자 한다. 청련암은 범어사 우측으로 담벼락을 따라 약간만 산으로 올라가면 안내판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범어사 조계문을 지나 범어사 여행을 하고 난 다음 조금 더 우거진 산 쪽으로 올라가면 계평암, 내원암 안내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 이제 범어사 산내암자 청련암으로 떠나가볼까요~~~~~ ㅎㅎ많은 사람이 휴일이라 범어사를 탐방을 위해 많이도 올라간다 등산객과 어울려서 말이다.아직 여름 우리에게 다가오지 않았는데 왜 이리 더.. 2024. 6. 14.
양산 [통도사] 사찰 여행 가볼만한 곳 양산 통도사 우리나라의 우수한 문화유산으로도 잘 알려진 영축총림 통도사는 신라 선덕여왕 15년(646년) 자장 율사가 창건한 천년 고찰로 해인사, 송광사와 더불어 한국의 삼대사찰로 불리고 있습니다. 여기서 영축총림이란 단어가 우리에겐 낯설기도 하여 영축과 총림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영축산은 석가모니가 법화경을 설법하던 인도의 영축산과 산세가 비슷하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총림(叢林)의 뜻은 범어 vindhyavana의 번역으로 빈타바나(貧陀婆那)라 음역 하며 단림(壇林)이라고도 번하는데, 많은 승려와 속인들이 화합하여 함께 배우기 위해 모인 것 을 나무가 우거진 수풀에 비유한 것이다. 지금은 승려들의 참선수행 전문 도량인 선원(禪院)과 경전 교육기관인 강원(講院), 계율 전문교육기관인 율원.. 2021. 10.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