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363 728x90 반응형 주식 종목뉴스에서 VI발동 이란? 주식거래를 하다보면 종목뉴스에 관심을 가지게 됩니다. 이에 가끔 VI발동 이라는 단어가 나타나 이 단어를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VI발동 이란? vi는 변동성 완화장치 / Volatility Interruption / 變動性 緩和裝置 vi를 한마디로 축약을 하면 투자자보호를 위하여 개별종목에 적용이 되는 가격안정화장치 입니다. 코스피에서는 호가 제출 당시 직전 체결가격의 ±6%(접속매매시간, 시간외시간), ±4%(종가단일가, 매매시간) 변동하는 경우 발동 된다고 합니다. 코스닥에서는 ±3%(접속매매시간, 시간외시간), ±2%(종가단일가, 매매시간) 변동하는 경우 발동 된다고 합니다. VI는 가격 변동성이 큰 주식시장에서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라고 할수 있습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vi발동에 대하여 확.. 2020. 5. 3. 주식 투자지표에서 BPS이란, PBR이란 주식시장에 입문하기 위해 조금씩 용어(단어)를 익히다 보면 주식 투자지표에서 bps와 pbr이란 단어가 나타난다 주식투자를 위해 필히 알아할 요소이니 뜻과 의미를 간단하게 알아 보록 하겠습니다. bps란 주당순자산(Book-value per share)이라고 하며 한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값이다 기업의 순자산이란 자기자본에서 무형 고정자산, 이연자산 및 사외유출분(배당금, 임원 상여금) 등을 제외한 것이다. 이러한 기업의 순자산으로 발행주식수로 나누어진 결과 값을 뜻한다 주당순자산(BPS)이 높다는 것은 자기 자본의 비중이 크다는 의미로 투자가치가 높다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반대로 주당순자산(BPS)이 낮다면 자기 자본 비중이 작아서 투자의 가치가 없음을 의미한다. 중요한 투자지표로써 사용.. 2020. 5. 1. 주식 투자정보에서 EPS, PER란 주식을 하다 보면 기업 투자정보에서 EPS, PER이란 주식 용어(단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하게 용어 설명과 함께 의미를 알아보고자 한다 물론 이러한 기초적인 지식을 쌓여야 성공투자에 조금이나마 일조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EPS란 주당순이익(earning per share)을 뜻하며 기업의 당기순이익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값이라고 할 수 있다 주당순이익(EPS)이 높다면 경영실적이 좋다는 의미로 기업의 투자가치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당순이익(EPS)가 낮게 값이 나온다면 혹 전환사채의 주식전환이나 주식의 증자가 있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PER란 주가 수익비율(Price Earning Ratio)이라고 하며,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누어진 비율이라고 할 수 있다 주가 수익비율(PE.. 2020. 5. 1. 이전 1 ··· 18 19 20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