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자기자본이익률2

728x90
반응형
[ROA / ROE] 등 재무분석 수익성 분석(이익율) 기업의 재무비율 분석은 재무제표의 각종 항목들 간의 관계를 이용하여 해당 기업의 건전성을 파악하고 그 기업이 우량기업인지 아니면 부실기업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재무제표에 의한 수익성, 안정성, 성장성, 활동성으로 나누어 평가하는데 오늘은 그중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항목을 같이 공유 토록 하겠습니다. 수익성은 기업이 보유한 자산으로 얼마의 수익을 보는지 분석하고 측정하는 지표 입니다. 이에 해당하는 항목으로는 총자본이익율(ROA), 자기자본이익률(ROE), 납입자본이익률, 매출액순이익율, 매출액영업이익률 등을 열거할 수 있기에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OA 총자본이익율(Return On Asset) 기업이 보유한 자본이 생산활동에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가를 측정하며 세금 .. 2021. 5. 12.
ROA, ROE는 기업평가에 주요 잣대/효율적 경영성과 지표(총자산이익률, 자기자본이익률) 주식 용어 중 비슷한 단어들이 많아 조금씩 혼돈이 있기도 하고 혹 잘못 인식을 하여 본인의 투자가치에 대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에 헛갈리기 쉬운 두 단어를 모아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OE와 ROA에 대하여 아주 간단하고도 쉬운 설명과 함께 주요 잣대에 대한 적용 기업을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익히 알고 계신분들도 있겠지만........ ROA(Return on Assets) 총자산이익률 와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수익률 공통점과 차이점 ROA와 ROE 이 두 용어의 공통점은 기업이 한 해 동안 얼마나 효율적인 경영성과를 나타내었냐를 표시하는 수치입니다. 이러한 수치를 수익성 지표라고도 합니다. ROE, ROA는 수익성 지표로써 기업평가에 중요한 잣대로 값이 클.. 2020. 5. 23.